시사paradigm] 군중의 사상, 추론, 상상력

- 군중의 사상
모든 문명은 거의 쇄신되지 않는 몇가지 기본 사상의 소산임. 
군중이 받아들일 수 있는 사상에 대해서, 그리고 군중이 어떤 형태로 그것을 이해하는지
첫째 부류 : 당대의 영향을 받아서, 예를 들면 어떤 인물이나 교리에 심취하다가 우연히 갖게 된 일시적 사상이다.
둘째 부류 : 예를 들면 과거의 종교적 신념과 현대의 민주주의 사상, 사회 사상 등 환경과 유전, 여론이 매우 견고한 안전성을 부여한 기본 사상이다.
이런 기본 사상은 천천히 흘러가는 거대한 강줄기에 비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일시적 사상은 강줄기의 수면에서 끝없이 변하며 요동치는 작은 파도 같아서 흘러가는 강줄기보다 눈에는 잘 띄지만 실제로 중요하지는 않다.
ex) 유럽에 있는 대학에서 교육을 받고 모든 학위를 취득한 교양 있는 힌두교들에게서 그런 현상을 관찰한 적이 있다. 그들이 대대로 물려받은 종교적, 사회적 사상으로 이루어진 확고부동한 토대 위에 그 같은 사상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서양 사상의 토대가 얹혀졌다[그렇지만 유산으로 물려받은 사상을 변질시키지는 않았다.] 시대가 바뀔 때마다 전자나 후자가 번갈아가며 일련의 행위나 말로 표출되었고, 한 개인이 명백한 모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런 모순은 실제적이라기보다는 표면적인 것이었다. 오직 유전된 사상만이 고립된 개인의 행동 동기가 될 만큼 강력하기 때문이다.
사상이 군중의 정신에 뿌리를 내리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거기서 다시 빠져나오는데도 역시 그만큼 오랜 시간이 걸린다.(프랑스혁명으로 이어진 철학 사상은 군중의 정신 속에 자리 잡기까지 거의 백 년이 걸렸다). 

- 군중의 추론 능력
군중이 이성적으로 추론하지 않으며 이성적 추론의 영향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들이 사용하는 논법과 그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논법은 논리적 관점에서 볼 때 수준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오직 유추작용에 의해서만 그 논법에 이성적 추론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가 있다.
ex) 군중이 결합하는 사상들은 투명한 물체인 얼음이 입에 넣으면 녹는다는 사실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되자 역시 투명한 물체인 유리를 입에 넣으면 녹을 것이라고 결론 내리는 에스키모의 그것들이나 용맹한 적의 심장을 꺼내 먹으면 자시도 그렇게 용맹해질 것이라고 상상하는 야만인들의 그것들, 그리고 고용주에게 착취당하자 세상의 모든 고용주는 노동자들을 착취한다고 곧장 결론지어 버리는 노동자의 그것들처럼 연이어진다.
군중은 연속되는 논리적 추론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며, 바로 이런 이유때문에 군중이 이성적인 추론을 하지 않거나 잘못 추론하며 이성적 추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해도 무방한 것이다. 어떤 연설문들은 그냥 한 번만 읽어봐도 논리가 매우 빈약한 것을 알 수가 있는데도 군중에게는 엄청난 영향력을 발위했다. 
군중은 오로지 자신에게 강요된 판단만 받아들일 뿐 토론을 통해 내려진 판단은 절대 수용하지 않는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군중의 수준을 능가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 군중의 상상력
추론할 수가 없는 사람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군중의 표상적 상상력은 매우 강력하고 무척 활동적이며 깊이 감동한다. 군중은 잠자는 사람이랑 비슷하다. 잠을 자는 동안에는 이성을 발휘할 수 없어 강렬한 이미지가 그의 머릿속에 출현한다. 
군중은 성찰이나 추론할 능력이 없으므로 사실 같지 않은 일을 체험하지 못한다. 그런데 군중에게 가장 큰 인상을 주는 것 역시 도저히 일어날 법하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사건의 경이적이고 전설적인 측면이 군중에게 극도로 강렬한 인상을 안겨주는 것이다. 
오직 이미지를 통해서만 생각할 수 있는 군중은 오직 이미지에 의해서만 감동한다. 그들을 공포로 몰아넣거나 매혹하여 행동하게 하는 것은 오직 이미지뿐이다.
드라마 배우가 연기한 캐릭터에 매료되어 그를 공격할 수도 있다. 이런 것이야말로 군중의 정신상태를 가장 잘 보여주는, 그리고 특히 군중이 얼마나 쉽게 암시에 걸리는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비현실적인 것은 현실적인 것만큼 군중에게 영향을 미친다. 군중은 현실적인 것과 비현실적인 것을 구분하지 않으려는 성향을 명백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군중의 지성이나 이성에 호소하려다가는, 즉 논리적으로 증명하려다가는 군중의 상상력을 결코 감동시킬 수 없다.
군중의 상상력에 충격을 가하는 것은 사건 자체가 아니라 그런 사건이 어떻게 분류되어 소개되느냐 하는 것이다. 요컨대 사건은 응축되어 군중의 마음을 꽉 채운 채 떠나지 않는 강렬한 이미지를 생산해내야 한다. 

군중의 상상력을 사로잡는 기술을 아는 사람은 그들을 지배하는 기술도 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